- 환불규정: 다운로드 후에는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도서 정보
- 분야 경영/경제/자기계발
- 작가
- 김민성
- 출판형태
- 전자책
- 파일형태
- 파일크기
- 3.52MB
- 출판사
- 부크크
- ISBN
- 9791127290412
- 출판일
- 2019.12.03
목차
머리말 … 9
<스타트업 투자유치&IR 마스터링>을 출간하며 … 9
<스타트업 투자유치 마스터링(2018.5월)>을 출간하며 … 11
<스타트업 IR 마스터링(2019.7월)>을 출간하며 … 15
제1장 투자유치의 개요 … 19
1. 투자와 차입의 차이 … 21
2. 투자유치의 형태 … 23
제2장 투자자 Hierarchy의 이해 … 27
1. 엔젤투자자 … 31
2. 액셀러레이터 … 34
3. 정책자금 : 신보, 기보, 중진공 … 39
4. 벤처캐피탈(VC) : 창투사, 신기사, LLC형 VC … 43
5. 후기단계(late-stage) 전문 투자기관 … 45
6.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 46
7. 전략적 투자자(SI. Strategic Investor) … 48
참고1. 투자컨설팅 실제 사례 … 51
참고2. 엔젤투자 시 절세 혜택 … 53
제3장 펀드(투자조합) 결성과정의 이해 … 55
1. 출자사업 … 57
2. 출자사업 구조로 인한 특징 … 58
2-1. (인사이트-1) 펀드별 주목적 투자 분야 … 58
2-2. (인사이트-2) 펀드 규모 및 결성시점 … 63
2-3. (인사이트-3) 잠재 타겟 펀드 선별 … 65
제4장 최근 결성 펀드와 주목적 분야 … 67
1. 최근 선정된 펀드 및 운용사 리스트 … 69
1-1. 한국벤처투자㈜ 최근 운용사 리스트 … 71
1-2.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 최근 운용사 리스트 … 80
1-3.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최근 운용사 리스트 … 83
1-4. 펀드 규모로부터 얻어야 할 인사이트 … 85
2. 펀드별 주목적 분야 정의 … 86
2-1. 한국벤처투자㈜ 최근 펀드 주목적 정의 … 87
2-2.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 최근 펀드 주목적 정의 … 94
2-3.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최근 펀드 주목적 정의 … 98
제5장 VC의 투자프로세스 이해 … 101
1. 딜소싱(deal sourcing) 및 사전 검토 … 105
2. IR(Investor Relations) … 107
3. 투자검토보고서 작성 … 112
4. 투자심의위원회(투심위) … 115
5. 실사 … 117
6. 계약서 검토, 날인 … 121
7. 투자금 납입 … 126
8. 사후관리 … 126
제6장 투심위 주요 부결 원인 … 129
1. 시장성 및 사업성 이슈 … 131
1-1. 성숙 또는 정체된 시장에 포지셔닝 … 133
1-2. 틈새시장(niche market)을 노리는 전략 … 134
1-3. 초기시장(이머징 마켓)으로서 시장형성에 대한 우려 … 135
1-4. 사업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대한 우려 … 137
1-5. 시장 진입(market penetration) 가능성에 대한 확신 부족 … 138
1-6. 시장규모가 외부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시장 … 139
1-7. 플랫폼 사업의 어려움 … 140
1-8. 후발주자의 모방 우려 … 141
1-9. 확장성(scalability)이 결여된 비즈니스 모델 … 142
1-10. 수주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불리함 … 143
1-11. 불명확한 고객가치 및 소구포인트 … 144
1-12. 흥행사업에서 연속 성공에 대한 확신의 부족 … 146
1-13. 수익 모델 적용의 어려움 또는 부적절한 수익모델 … 147
1-14. 막연한 해외 진출 계획 … 149
1-15. 일순간의 평판에 크게 좌우되는 BM … 150
1-16. 전형적인 내수산업(로컬 비즈니스) … 151
1-17. 돌발적인 대외변수 … 152
1-18. 과거 투자실패의 주홍글씨를 보유한 산업 … 153
1-19. 동종업계 선발업체의 부진한 성적이 미치는 악영향 … 154
1-20. 고객의 매출향상이 아닌 비용절감에 집중하는 BM … 155
1-21. 전형적인 전통산업에 대한 낮은 선호도와 저평가 … 156
1-22. 시장참여자의 복잡하고 첨예한 이해관계 이슈 … 157
1-23. 심사역(투자자) 개인의 심리적 거부감 … 158
1-24. 업종별 성공방정식에 대한 이해 부족 … 159
2. 차별성 및 경쟁력 이슈 … 160
2-1. 하이테크(high-tech) 기업의 이슈 … 161
2-2. 기술 기업으로의 부적절한 포지셔닝 … 164
2-3. 머니게임, 쩐(錢)의 전쟁에서 생존 우려 … 165
2-4. 하드웨어/제조 스타트업의 우려 포인트 … 166
3. 사람/팀역량(human resource) 이슈 … 167
3-1. 개인 프로파일은 기본 확인 정보 … 169
3-2. 창업자/대표이사의 투자자 우호적인 태도 여부 … 170
3-3. 엔지니어 위주로 구성된 팀의 약점 … 171
3-4. 도메인전문가(Domain Expert)의 중요성 … 171
4. 회수 가능성 및 방법(EXIT) … 172
4-1. 기업가치에 대한 눈높이 차이(Valuation Gap) … 173
4-2. EXIT 시나리오가 불명확한 경우 … 174
5. 기타 … 177
5-1. 기업이 희망하는 전체 자금의 모집 가능성 … 177
5-2. 실사에서 크리티컬 이슈 도출 … 178
5-3. 지분관계 또는 주주리스크 … 179
5-4. 계약조건 조율에서 난항 … 179
참고3. 투심위 부결 실제 사례 … 181
제7장 IR자료 작성 및 피칭 … 185
1. 투자프로세스에서 IR자료의 역할 … 187
1-1. (1단계) 투자자 접촉 단계 : 투자자의 관심 유도 … 189
1-2. (2단계) 투자 검토 단계 : 근거데이터와 증거 제공 … 191
1-3. (3단계) 사후관리 단계 : 모니터링 및 신뢰 판단 … 193
2. 목차 구성 … 195
2-1. 타사 IR자료 Case Study … 196
2-2. 목차 구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 200
3. 문서의 스타일 … 203
3-1. (특징 1) 도식화를 통한 직관성 향상 … 205
3-2. (특징 2) 헤드 메시지를 통한 주목도 향상 … 207
3-3. 좋지 않은 스타일 Case Study … 208
4. 스토리라인 구성에서의 주요 흔한 실수 … 213
4-1. 시장성/사업성 영역에서의 흔한 실수 … 214
4-2. 차별성/경쟁력 영역에서의 흔한 실수 … 218
4-3. 사람/팀역량 영역에서의 흔한 실수 … 223
4-4. EXIT 영역에서의 흔한 실수 … 228
5. IR피칭(발표) … 232
5-1. 부정적인 인상을 남기는 IR피칭 사례 … 234
5-2. IR피칭≠단순한 문서 읽기 … 237
5-3. Case Study : 드라마 <미생> 13화 발표 장면 … 238
제8장 기업가치 산정(Valuation) … 247
1. 용어 정의 … 249
2. 희석증권에 대한 고려 … 250
3. 기업가치 산정 방법 … 251
3-1. 기업가치=당기순이익xPER 공식 적용 … 251
3-2. 동종업계의 유상증자, M&A 인정 가치와 비교 … 255
3-3. 이종업계의 유상증자, M&A 인정 가치와 비교 … 256
3-4. 희생가능한 지분율 감안 기업가치 역계산 … 257
제9장 투자유치성공을 위한 조언 … 259
1. VC는 자금조달 여러 방법 중 하나에 불과 … 261
2. 투자는 설득→공감→협상의 3단계 과정 … 262
3. 확실한 매력을 가진 기업이 투자유치 성공 … 263
4. 국내 VC환경에서 심사역 개인의 권한은 제한적 … 264
5. 작은 성과라도 1등을 해 본 기업에 대한 호의 … 265
6. 회계 이슈는 누적되면 한 번에 정리 불가 … 267
7. 핏(fit)이 맞는 투자 심사역과는 관계 유지 … 268
8. 인생의 멘토를 만날 수만 있다면, why not … 269
그림 목차 … 271
표 목차 … 273
작가 소개 … 275
도서 정보
본 책은 기존에 출간되었던 <스타트업 투자유치 마스터링>(2018.5월)과 <스타트업 IR 마스터링>(2019.7월)의 통합본이면서, 동시에 그 동안 다수 강연 및 여러 업체의 멘토링을 진행하면서 느꼈던 점들을 기반으로 내용을 업그레이드한 버전이다. 또한, 가장 최근의 펀드 출자사업에서 선정된 운용사리스트까지 업데이트하였다.
그 동안 강연을 하고 나면 꼭 나오는 피드백의 하나가, “여태까지 왜 투자 못 받았는지 이제 알겠다”는 반응이었다. 역시나 투자유치라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정이다. 준비없이 근거없는 낙관론만으로는 투자유치라는 결과를 달성하기가 만만치 않을 것이다.
그런 준비의 일환으로서, 국내 투자업계의 문화에서 투자자가 일하는 방식, 생각하는 방식 그리고 투자의사결정을 내리는 방법과 패턴에 대해서 창업자/대표이사가 미리 알아두면 알아둘 수록 분명히 좀 더 효율적으로 투자유치활동을 할 수가 있다. 이 부분이 투자업계 외부에 있는 사람에게는 상당히 베일에 가려져 있었던 게 사실이고, 전작인 <스타트업 투자유치 마스터링>과 <스타트업 IR 마스터링>이 확실히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분산되어 있던 정보를 본 책 한 권으로 통합하고 좀 더 접근성을 높였기 때문에, 스타트업이 투자유치를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상당히 많은 내용을 원스톱으로 습득하고 이해하기에 용이할 것으로 기대한다.
<스타트업 투자유치 마스터링>을 처음 출간한 이후 블로그를 통해, 또는 개인적인 메일로 VC업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반응을 다수 접했었다. 아무쪼록 본 책을 통해서도 투자유치를 준비하는 많은 창업자/대표이사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투자세계와 관련하여 책도 읽고 기사도 읽던 중, IT동아에 10부작으로 연재(2018년 3월~5월)하신 글을 읽었는데, 글의 내용이 너무 주옥같아 개인적으로 큰 도움을 얻었습니다. …“
- 특허법인 OOO의 변리사 OOO의 메일 내용 중
“… VC 투자유치 관련해 딱 한 권만 봐야 한다면 무조건 이 책을 보라고 할 것 같다. …”
- 크라우드펀딩 OOO의 마케터 OOO의 블로그 내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