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불규정: 다운로드 후에는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도서 정보
- 분야 인문사회 > 종교
- 작가
- 김장환
- 출판형태
- 전자책
- 파일형태
- 파일크기
- 10MB
- 출판사
- 도서출판 JWM
- ISBN
- 9791198016720
- 출판일
- 2023.03.31
목차
TABLE OF CONTENTS 차 례
Chapter 1. The Origin and Reality of Religions
종교의 기원과 실체
1-1. What is Religion? 종교란 무엇인가?
1-2. How did religion begin and what is the Nature of It?
종교는 어떻게 시작되었고 그 실체는 무엇인가?
1-3. How did religion develop?
종교는 어떻게 발전되었는가?
1-4. Who is Satan, the founder of religion?
종교의 창시자 사탄은 어떤 존재인가?
1-5. Why do humans seek a religion?
인간은 왜 종교를 찾게 되는 것인가?
Chapter 2. The Identity & Reality of Religion
종교의 정체성과 그 실상
2-1. How has naturalistic religion developed?
자연주의 종교는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
2-2. How has humanistic religion developed?
인본주의 종교는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
2-3. How has theocentric religion developed?
신본주의 종교는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
2-4. What is the Reality of Syncretism in Religions?
종교안에 자리잡은 혼합주의의 실상은 무엇인가?
2-5. How shall we deal with the task of coexistence
between Christianity and other religions?
기독교와 타 종교와의 상생의 과제는 어떻게 할 것인가?
Chapter 3. The Identity & Reality of Heresy
이단의 정체성과 그 실상
3-1. What are the Heresies of the Early Church?
초대 교회에는 어떤 이단들이 있었는가?
3-2. What are the heresies of the Catholic Church?
천주교회의 이단성은 무엇인가?
3-3. What are the heresy of the Jehovah's Witnesses?
여호와의 증인의 이단성은 무엇인가?
3-4. What are the heresies of the Mormon?
몰몬교의 이단성은 무엇인가?
3-5. What are the heresie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제 칠일 안식일 교회의 이단성은 무엇인가?
3-6. Case researches from each country (e.g. Korea)
각 나라의 사례 연구 (한국의 경우)
3-7. What is the Major Doctrinal Errors by Heresies?
이단들의 교리적인 주된 오류는 무엇인가?
3-8. What are the Common Features of Heresies?
이단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3-9. Why does Heresy Occur and what shall we do as
Preventive Measures?
왜 이단들이 발생하며 그 예방 대책은 무엇인가?
Chapter 4. Insights of the Pseudo Gospel
그릇된 유사 복음에 대한 통찰
4-1. What about a legalism different from the Biblical Gospel?
율법주의와 성경적인 복음은 어떻게 다른가?
4-2. What about Mysticism different from the Biblical Gospel?
신비주의와 성경적인 복음은 어떻게 다른가?
4-3. What about Humanism different from the Biblical Gospel?
인본주의와 성경적인 복음은 어떻게 다른가?
4-4. What about Syncretism different from the Biblical Gospel?
혼합주의와 성경적인 복음은 어떻게 다른가?
4-5. What about the Social Salvation Gospel different from the Biblical Gospel?
사회구원의 복음과 성경적인 복음은 어떻게 다른가?
Chapter 5. Biblical Background & the Origin of The Gospel
복음의 성경적인 배경과 기원
5-1. How is the Gospel fulfilled for Humans?
복음은 인간에게 어떻게 성취되는가?
5-2. How and When Did the Gospel Begin in this World?
복음은 이 세상에서 언제 어떻게 시작 되었는가?
5-3. After Adam & Eve, how was the Nature of the Gospel Revealed?
아담과 하와 이후, 복음의 본질은 어떻게 계시되었는가?
5-4. What is Covenant in the Bible?
성경의 언약이란 무엇인가?
5-5. How was the Gospel Succeeded?
복음은 어떻게 계승되었는가?
Chapter 6. Biblical Insights into the last days
마지막 시대에 대한 성경적인 통찰
6-1. What is the Essentials of the Biblical Truth?
성경적인 복음의 핵심 진리는 무엇인가?
6-2. What is wrong with Dispensational Eschatology
세대주의 종말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6-3. How does the Antichrist of the Last Age Appear?
마지막 시대 적그리스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6-4. How will the Second Coming of Jesus Christ be fulfilled?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은 어떻게 성취되는가?
6-5. How shall we live by faith in the last days?
마지막 시대 신앙생활 어떻게 해야 할까?
도서 정보
INTRO 글머리에
예수님의 부활 이후 40일 동안 제자들은 어디에 있었을까? 그들은 다시 고기 잡으러 이전의 삶의 터전으로 되돌아가 있었다. 그런 제자들을 찾아오셔서 주님께서는 제자들을 위해 조반을 차리신 자리에서 선교적인 사명을 다시 각인시키고 계셨다. 그러면 제자들은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 알았을까? 물론 아니다. 그것은 승천을 앞 둔 마당에서 했던 제자들의 질문을 보면 고스런히 짐작할 수 있다. 사도행전 1:6 말씀이다. “그들이 모였을 때에 예수께 여쭈어 이르되 주께서 이스라엘 나라를 회복하심이 이 때니이까 하니”. 주님께서 승천을 앞둔 그 자리에서까지 제자들의 관심 사항은 언약의 복음이 아니라 철저히 인간의 종교적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신앙고백은 물론 영적인 지식이나 영적인 능력은 성령의 역사 안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마16:15-17; 요16:13; 고전2:13; 고전12:3).
물론 주님께서는 이 모든 것을 예견하시고 마지막까지 제자들에게 당부하신 말씀이 있었다. 사도행전 1:4-5 말씀이다. “사도와 함께 모이사 그들에게 분부하여 이르시되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고 내게서 들은 바 아버지께서 약속하신 것을 기다리라 요한은 물로 세례를 베풀었으나 너희는 몇 날이 못되어 성령으로 세례를 받으리라 하셨느니라”. 성령의 대망에 대해서는 십자가를 지시기 전부터 누누이 주입해 오셨던 바이다. “보혜사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 그가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고 내가 너희에게 말한 모든 것을 생각나게 하리라” (요한복음14:26).
드디어 오순절에 이르러 주님의 말씀은 그대로 성취가 되었다. 보혜사 성령께서 오셔서 특별한 은혜를 베풀어 주심으로 제자들은 비로소 주님의 예견대로 영적인 페러다임이 바뀐 것이었다. 십자가에 못박히고 부활하셔서 마침내 승천하신 예수님께서 누구신지 그리고 그 분께서 하신 모든 말씀이 무엇이었는지 그 자리에서 깨달음이 열려진 것이다. 그러자 가슴이 뜨거워지다 못해 견딜 수 없어 입을 열어 증거한 것이 최초의 베드로의 설교였고 성령께서는 그 선포에 또 역사하셔서 듣는 사람들의 귀마저 열으신 것이었다. 오순절 사건은 그래서 종교의 껍질을 깨고 복음선포의 첫발을 내디딘 사건인 것이다.
예수님 당시에도 얼마나 많은 사람이 예수님을 추종했는지 말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막상 예수님께서 십자가의 대속을 말씀하시자 대다수가 예수님께 등을 돌리고 떠나가고 말았다. 그들을 향해서 주님께서는 이렇게 탄식하셨다.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나를 찾는 것은 표적을 본 까닭이 아니요 떡을 먹고 배부른 까닭이로다 (요한복음6:26)”. 그들은 하나같이 복음이신 예수님을 좇은 것이 아니라 그저 떡을 좇은 종교인들에 불과했던 것이다. 복음이란 성전 미문의 앉은뱅이가 구했던 은과 금이 아니라 예수 이름에 있는 것이고 밭에 널린 곡식이 아니라 감추인 보화를 발견하는 것이다.
오늘날 교회와 크리스천들도 유사하지 않을까? 예수 그리스도를 목적이 아니라 종교적 수단으로 전락시킨 체로 두터운 껍질에 갇혀 방항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나님께서는 언약의 복음을 주셨는데 우리는 그것을 인간의 종교로 바꿔 스스로 그 안에서 종의 멍에를 메고 있지 않느냐 말이다. 언약의 복음과 인간의 종교는 무엇이 다른 지 깊은 통찰이 필요하리라 여긴다. 이러한 고심을 가지고 복음과 종교 사이에서 함께 성찰하며 영적인 진정성을 회복해 나가길 바란다. 요한복음 8:32 말씀이다.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2020.3.12. 김 장 환 (Servant. Kim. Th.D.,D.Ed)